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법3

안전관리자 취업 전망 앞으로도 좋을까? 안전관리자란?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ㆍ조언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 안전관리자 수요가 확대된 이유? 안전과 관련한 각종 법들이 대폭 개정이 된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이 확 낮아져서 기존에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아도 되었던 사업장에서 이제는 안전관리자를 의무적으로 선임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 1, 2023년 7월 1일부터는 이제 50억원 이상인 현장에서도 다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합니다. 올해 2월 19일부터는 재해율이나 사망만인율이 높은 사업장에 대해서는 기존에 안전관리자를 1명만 선임하면 되었던 사업장이, 이제는 안전관리자를 2명 선임하도록 법이 개정이 되었는데요. 선임의무 자체가 계속적으로 .. 2023. 3. 14.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가 업무하며 많이 이용하는 사이트 1 ~ 3 안녕하세요 오늘은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가 업무하며 많이 이용하는 사이트를 알려드려고 합니다.! 1. 법제처 https://www.moleg.go.kr/index.es?sid=a1 법제처 행정기본법 제정, 주요기능과 사업, 생활법령, 법령해석, 세계법제, 법제소식, 법령검색 등 제공 www.moleg.go.kr 보도자료, 입법예고 등 많은 사항들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2. 위험성평가 지원 시스템 https://kras.kosha.or.kr/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 kras.kosha.or.kr 위험성 평가하시느라 막막하신 분들이 많은데 저도 이 사이트에서 수시, 정기 위험성 평가를 진행하는데 정말 편하고 끝나면 엑셀로도 변환이 가능합니다.! 3. 기상청날씨누리 https://www.weather.go.. 2023. 3. 13.
위험성평가 개편된다?? 3월 7일 행정예고! 고용노동부 ‘위험성평가 개정 고시(안)’ 행정예고를 했습니다.! 쉽고 간편한 다양한 평가 방법도 제시 정부는 지난해 11월 30일 발표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서 처벌과 규제만으로는 더 이상 산업재해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정책적 한계를 지적하면서, 영국·독일 등 산업안전 선진국과 같이 자기규율 예방체계의 핵심인 위험성평가를 중심으로 산업안전 정책과 제도 전반을 정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위험성평가는 노·사가 함께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스스로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대책을 수립·이행하여 근로자의 사망·부상·질병을 예방하는 제도로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면 사업장에서 일하는 사람 중 누가 위험한지 알게 되고,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체계가 마련된다. 그.. 2023. 3. 11.
반응형